The Directory of Perpendicular Mind: Eunu Lee Solo Exhibition

Zoe Chun, Independent Curator / Founding Director of The Great Commission

1.Living room, interior, drawing: practice and history
“When preparing for this exhibition, I was curious to see what would happen if the symbols from Drawing were to deviate from the paper” (Eunu Lee artist’s note)

The Directory of Perpendicular Mind will showcase Drawings, the main work of the exhibition, and a series of artist’s drawings where concrete unit elements are continuously individualized and subdivided on graph paper to create each unique possibility. These drawings were created by the free investigation of different shapes that do not necessarily need to be created by the artist, who has consistently explored three-dimensional objects. ‘Drawing’ refers to the collective drawing works the artist creates in her studio as the start of her daily routine. Lasting for about an hour, the drawing follows a series of guidelines.

For example, straight lines or curves are drawn on graph paper at right angles, squares, or 45- degree angles to formulate a single shape or evolve into an unexpected form by encountering another shape. The result is a free and spontaneous connection of shapes, straight lines, and curves that are repeated or layered—then the layer is painted in part and covered with adhesive sheets with different textures used in interior architecture to create a delicate gap.

The gap gradually becomes distinct from creating a single body. Warming Up is a series of reliefs that surface from a flat space, introducing a three-dimensional sense by creating irregularities on graph paper. Originating from decorating living objects such as small furniture or a mirror, relief is a sculptural method with projections that subtly stem from the original element instead of expressing its massive presence—it is a series of presence arising from the trace of the artist's daily practices of ‘drawing.’

This practical drawing continues to replace a series of guidelines and traces with materials, textures, lines, and the execution of coloring. This is a record of autonomy, freed from gravity, not a conclusive and singular definition of emotions or sentiments layered in a specific way.

2.Perpendicular Mind: a body that senses

“I thought of the conceptual composition of ‘living room’ when preparing for Perpendicular Mind. a Living room is an architectural passage that connects the front door and rooms, where both public and private spaces are intertwined.”

In the private space of an individual (house), the living room is the only space where ‘common’ matters intersect: common objects or things that have passed through a certain situation are put

back in a private space (room), while private objects that were dragged out of the private space are given a new role outside of the house.

‘Living room’ signifies the composition of Lee’s works before they were organized into the current composition showcased in this exhibition. In other words, the works employed with different materiality and approaches are being ‘translated’ into a common language developed from a familiar place (the living room), alluding to how their original forms will soon experience metamorphosis.

This ‘translation process is similar to irregular waves because the works with different materiality are continuously subdivided and therefore individualized. Materials such as wood, metal, or plastic that have commonly uncharacteristic materiality evolve into works following the daily guidelines that seem to preclude practical emotions; their refined form embodies proportion and an orderly approach, while their interior envelops undefinable impression, emotion, and sentiment.

The works that reveal their existence at the boundary of personal metaphor cannot be interpreted singularly, resulting in the viewer experiencing them by ruminating on their journey from the studio to the exhibition space.

Perpendicular Mind presents a time of empathy through senses where the viewer connects and reproduces each work rather than referring to the origin of a single emotion. The artist repeatedly leverages the materiality of the aforementioned materials: she cuts, shears, trims, affixes, detaches, and often weaves things together. As the time applied to the materiality accumulates, Lee’s body also becomes familiar with the practice, often encountering collisions that occur or communing with some kind of physical approach through the senses.

Repeated immersion and effort for ‘making’ accompanies the utmost viscerality. Contrary to the current humanized language, which automatically processes the message to give it a particular meaning regardless of the speaker’s intention, the sensation is existential. Immediate acquisition verbalizes the status quo most accurately to evoke a state of movement from the inside, which is to recall the sensation of lines turning into angles and shapes.

3.Object: identity

“I am more interested in the exterior of an object than its conceptual value. For example, I focus on the material, production method, appearance, consumption pattern, and more.”

Lee calls her works “objects.” This may come across as a startling definition to those who admire her work, but when taking a closer look, the “objects” reveal a familiar shape or composition that is seen in our everyday lives. In this era where the conceptual status of adjectives describing novelty no longer exists, Eunu Lee’s composition reminds us to take another look at familiar objects.

The artist’s intention of the ‘objects’ deserving a second look derives from their flesh, not mind. As if objects lose their functionality (whether it is grand discourse or modest memory) after fulfilling

their purpose and exist as decorations, the thesis of the second look lies in the present when the trajectory of the object, its purpose, and its usage encounter the viewer. Interestingly, the ‘objects’ that seemed to have been confined in established thinking are decommissioned from their social roles and reemerge in the exhibition room.

Molding, the primary material of the Edge series, has long been used as a primary material for interior architecture. Molding is produced by carving out wood to make a concave space and finishing the gap in between two sides or the boundary of a space with wood lining. Edge showcases colorful moldings taking on an ambivalent role, which were layered to break away from their original shapes and embrace a new role.

The Object 4 (You), The Object 5 (Me), and The object 6 (Them) are multi-dimensional works that are the combination of processed wood and brass whose surface was ground to show texture and a ready-made billiard ball. Deprived of their original materials and purpose, the works suspend judgment by representing themselves as ‘undefined’ decorations.

If the role and meaning of these selected materials were to have been theoretically predefined, the viewer’s whimsical imagination might be limited. Seemingly incompatible and foreign sensations evoked from materiality-oriented approaches delay the concept that was inevitably preestablished. Looking at and sensing the discrepancy between mess and sophistication, the viewer waits for an empirical momentum.

Eunu Lee employed her curiosity about life and selected narrow perspectives to reserve the judgment of abstraction and to leave it undefined; meanwhile, the artist replaces the diversity of the same state with the coexistence and symbiosis of various states by using the description of shared and private approaches as a form, material, or substance.

4.Life: reality

“It’s okay to do anything, although it’s not okay to do everything. What can I do then? Once I rule out what I can’t do, what I don’t want to do, and what I shouldn’t do, it boils down to me and my life only.”

Atmosphere, an installation on the wall of the second floor, is a work of space that encompasses independent materials and shapes made of nickel, brass, red copper, and wood. They are light, transparent, and flexible, softly dominating the space as different fragments and objects. The lines and sides, an ongoing investigation of themes by the artist, become three-dimensional by ‘staying together.’

The installation reminds the viewer of the background music of Erik Satie, a French composer who pioneered creating modern-day ambient sound because the work does not overpower the atmosphere. As if it almost does not exist, Satie’s music manages not to draw any attention, yet softly plays in the background like furniture. Amidst the 19th Century French Renaissance music, Satie wanted to deviate from complex, pedantic, academic, and eloquent symphonies and capture

the essence of objects only, deducing it to mere simplicity. Eunu Lee’s solo exhibition Perpendicular Mind provides a glimpse of Satie’s attitude. Rather than being bound by a stereotypical narrative arc or putting theoretical concepts on a pedestal, the familiar shapes and their impressions run amorphously, existing as materials instead of evaporating.

In Essays of Michel de Montaigne, the French philosopher stated that as a person constantly living in the trembling universe, what he ought to do is to record the truth faithfully, not to refute or accept it. Montaigne rebutted his thoughts, often admitting a lack of consistency, to express and experience his faltering state in various ways.

Rather than limiting our reality by defining it as a ‘problem,’ Perpendicular Mind shows that we can opt for the state of experiencing the problem to understand it deeper with potential senses and insight. After all, the essence of diversity lies in acknowledging and embracing each unique possibility.

Eunu Lee’s possibilities show the imperfect as a character, the core value of amateurism, encouraging the viewer to experience their given status quo in the exhibition environment.

The Directory of Perpendicular Mind
이은우 개인전 <직각 마음>에 부쳐

전민경 독립기획자/ 더 그레잇 커미션 대표

1. 거실, 실내, 드로잉: 실천과 역사

“이번 전시를 준비하면서 <그리기>의 도형들이 지면을 벗어난다면 무엇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했다.” (작가 노트)

이번 전시의 주요 작품인 작가의 드로잉 <그리기> 시리즈는 구체적 단위 요소들이 지속적으로 개별화되고 세분화되며 모눈종이에 각기 다른 고유한 가능태를 만든 것이다. 당초 이 드로잉은 입체를 꾸준히 다루어온 작가가 ‘굳이 만들지 않아도 될’ 것들을 자유롭게 그리며 출발했다. 작업실에서 매일의 시작이자 루틴인 ‘그리기’는 이 작업의 총체적인 성격을 은유한다. 약 1시간 동안 이뤄지는 이 행위는 일정한 지침들을 지니고 있다.
모눈종이 위에 직각, 사각형, 45도 각도로 그은 직선이나 곡선은 이후 하나의 도형으로 완성되고 예기치 못하게 또 다른 형태와 만나며 진화한다. 결과적으로 그려진 도형과 직선, 곡선의 자유롭고 즉흥적인 연결은 반복되거나 겹겹이 층위를 만든다. 이 층위는 부분적으로 색칠되고 실내건축에서 쓰이는 서로 다른 질감의 시트지를 붙여 섬세한 유격을 발생시킨다.
그 유격이 점차 도드라지며 하나의 몸으로 성장한 (추후 제목 넣을예정) 시리즈는 평면 표면에서 진화한 일련의 릴리프(relief)로서, 모눈종이 위에서 요철의 기복을 만들며 입체적인 감각을 소개한다. 이런 돌출 요소를 지닌 릴리프 기법은 실제로 고대의 작은 가구나 거울 같은 생활 오브제 등에서 시작된 장식적 접근이다. 곧, 육중한 입체의 존재감을 설파하는 대신 본래의 요소에서 은은하게 자라난 살 붙임과 같은 식인데, 당초 ‘그리기’의 매일의 실천에서 획득한 흔적에서 솟아난 일련의 존재감이다.
이 실천적 드로잉은 지속적으로 일련의 지침과 발생된 흔적을 재료, 질감, 선, 색칠의 수행으로 치환한다. 이는 특정하게 덧씌워지는 감정이나 정서의 명확한 의지를 단일하게 귀결하기 보다, 유영하듯 중력을 벗어난 자율성 속에서 기록한 것이다.

2. 직각마음: 감각-하는-몸

“<직각 마음>를 준비하면서 떠올린 개념적 구도는 ‘거실’이었다. 집의 현관과 방을 건축적으로 연결하는 거실에는 공적인 것과 사적인 것이 마구 얽혀 있다.”

거실은 한 개인의 사적 영역(집)에서 유일하게 ‘공동’이 교차하는 성질을 지닌다. 이 혼성적인 공간에서 어떤 상황을 지나온 물건이나 사물은 다시 개인의 공간, 곧 방으로 향하기도 하고, 역으로 방에서 끌려 나온 사적 물건들은 집 밖으로 나가 본래 물건의 고유한 역할을 넘어서기도 한다.
이는 이번 전시 참여 작품들이 품고 있는 구도, 곧 작품군들이 구성된 짜임새 이전의 태세를 암시한다. 다시 말해 거실의 공동 공간에서 현상하는 공통의 언어를 위해 각기 다른 물성과 접근을 지닌 작업들이 일종의 번역 과정을 거쳐 스스로의 탈피를 막연히 예감하는 셈이다.
이 번역과정을 살펴보자면 마치 일관될 수 없는 파도와 같다. 지속적으로 세분화되는 각기 다른 물성의 작업들은 결과적으로 개성화되기 때문이다. 개성이 부각되지 않는 보편적인 물성인 나무, 금속, 플라스틱에 이르는 재료들은 마치 즉물적인 감정을 배제한 듯한 일상적 지침에 따라 작품으로 진화하지만, 실제로 그 정제된 형식은 비율과 질서에 이르는 접근, 그 내부에는 단언할 수 없는 인상과 감정, 정서가 있다.
인격적인 은유의 경계에서 존재를 드러내는 이들은 단일하게 드러나기 어렵지만 결과적으로 경험에 이르는 여정을 작업실과 전시장의 거리에서 반추한다.
이번 전시 <직각 마음>에서 상기하는 그 ‘마음’은 하나의 감정에 따른 근원성을 지칭하기보다 각 작품들 사이를 관객이 연결하고, 재생하는 일종의 감각을 통한 공감 시간에 보다 가깝다. 작가는 앞서 언급한 재료가 촉발하는 물성을 반복적으로 다룬다. 썰고, 깎고, 다듬으며, 붙였다 떼고, 간혹 무엇을 직조하기도 한다. 그 물성에 가해지는 시간이 축적되며 작가의 신체에는 익숙함이 생기고, 발생하는 충돌을 만나기도 하며, 감각을 통한 모종의 신체적 접근으로 이뤄지는 교감을 획득한다.
‘만들기’를 위한 반복적인 몰입과 힘씀은 그 자체로 감각 최상의 원초성을 동반한다. 작금의 인문화된 인간 언어가 자동반사적인 필터링을 통해 이미 우리의 의도와 상관없이 판단되는 결과를 도모하는 것에 반해, 감각의 발생은 그 자체로서 실존적이다. 즉발적인 체득은 가감 없는 상태를 가장 근접하게 언어화하며 내면에 가까운 운동 상태를 환기하는데, 그것이 바로 직선이 각이 되고 도형이 되는 감각을 정서적으로 상기하는 것이다.

3. 물건: 정체성

“나는 사물이 담고 있는 관념적인 가치보다 그 외피에 관심이 있다. 예를 들어, 그 사물의 재료나 제작방법, 생김새, 소비형태 따위에 초점을 맞춘다.”

작가는 자신의 작품을 물건이라 부른다. 작품을 보고 흠모하는 관객들에게 이는 꽤나 당황스러운 지칭이 아닐 수 없으나 실로 면면의 작품을 뜯어보자면 우리 생활에서 목도되는 그 무엇들, 익숙한 듯하고, 곁을 내줬던 형태나 구조가 아른거린다. 실로 동시대의 개념적 접근에서 창작의 새로움을 운운하는 형용사 따위의 격이 사라진지 오래인 지금, 이은우가 다루는 그 구조는 실제로 우리 삶에 붙어 있는 것들을 다시금 보게 한다.
다시금 보게 하는 그 ‘물건’의 작가적 의도는 사상적인 것들이 아닌 우리 육신에 붙어 있다. 마치 그 물건들이 제 기능을 다하며 지난 역할의 역사(그것이 거대 담론이던, 겸손한 기억이든 간에)를 소멸하고, 장식으로 존재하듯이 그들을 다시 보게 하는 테제는 그것들이, 그 물건이, 그 용도가, 쓰임이 지나온 결과와 이를 조우하는 지금에 있다. 흥미롭게도 규정된 사고에 머무를 것만 같았던 그 ‘물건’은 사회적 역할로서 그 소임을 다하고 전시장에서 또 다른 역할로서 드러난다.
이번 전시에 등장하는 <가장자리> 연작의 주재료인 몰딩은 나무의 면을 깎아 표면의 오목함을 만들어 면과 면 사이의 마감이나 공간의 경계를 띠 돌림으로 정돈하는 용도로 실내 건축의 주요 자재로 활용되어왔다. <가장자리>에서 이들은 색색의 컬러를 입고, 겹겹이 쌓여 본래 재료의 모습과 또 달리 생성된 역할로 양가적인 쓰임을 취한다.
뿐만 아니라 이번 전시의 입체 작품 <물건 4(나)>, <물건 5(너)>, <물건 6(걔)>은 가공된 나무와 표면을 갈아 질감을 표현한 황동, 기성품 당구공의 조합으로 기존에 사용되었던 재료와 목적을 상실하고 그것의 판단을 유보한 ‘규정되지 않음’으로 귀결되고자 하는 모종의 장식이 된다.
만약 이렇게 선택된 재료들이 당초 그 역할과 의미가 이론적으로 규정되었다면, 엉뚱하게 떠오를 수 있는 관객들의 상상은 제한되었을 것이다. 때때로 어울리지 않는 재료들과 그것에 물성적으로 접근함으로써 발생하는 낯선 감각은 그것들의 기원과 어쩔 수 없이 동반하는 관념을 가능한 최대로 미룬다. 그것들 사이의 격이 맞지 않음, 곧 너절함과 우아함의 거리 사이에서 관객들은 이를 바라보고 감각하며, 경험하는 모멘텀을 기다린다.
이은우는 삶에 대한 호기심과 선택된 협소한 시야를 통해 궁극적으로 추상의 판단을 유보하고, 규정하지 않는다. 다만 그것의 형태로서, 재료 혹은 물질로서 동반하는 보편적이고 사적인 접근의 묘사를 통해 같은 상태의 다양함을 여러 상태의 공존/공생으로 치환한다.

4. 생활: 리얼리티

“뭘 해도 괜찮지만 그렇다고 아무거나 해도 괜찮은 건 아니다. 무엇을 할 수 있을까? 할 수 없는 일, 하기 싫은 일, 하면 안 되는 일을 쳐내고 나면 오로지 나와 생활이 남는다.”

2층 벽면에 설치된 작품 <분위기>는 백동, 황동, 적동과 나무로 구성된 독립적인 물질과 도형들이 연합하여 공간을 다루는 작업이다. 각기 다른 파편이자 개체로서 공간을 부드럽게 장악하는 이들은 가볍고, 명확하며, 유연하다. 작가가 지속적으로 몰입해온 선과 면이 형태에서 입체로 나아가며 ‘함께 머물러 있음’으로 다가온다.
마치 들릴 듯 말 듯, 지금의 공기를 헤치지 않는 배경음악 같기도 한데 이는 앰비언트 음악의 근원이라 할 수 있는 프랑스 에릭 사티의 사운드를 연상케한다. 사람들의 이목을 뒤로한 채 있는 듯 없는 듯 마치 가구처럼 그 자리에 있다는 식인데, 사티는 19세기 프랑스 음악의 르네상스에서 복잡하고 현학적이며, 아카데믹하고 웅변적인 교향곡에서 벗어나 사물의 본질 만을 포착해 그것을 지극히 단순한 형태로 표현하고자 했다.
이은우 개인전 <직각 마음>은 사티가 취했던 당시의 태도를 엿볼 수 있다. 정형화된 기승전결이나 좌대 위에 놓인 이론 개념에 얽매이지 않고 무정형하게 흐르며 삶과 일상의 주변에 맴도는 형태와 그것의 인상은 잡히지 않는 허상으로 달아나지 않고 물질로서 그 자리에 존재한다.
몽테뉴는 수상록에서 끊임없이 우주의 흔들림 속 살아가는 자신이 할 수 있는 것은 진실에 대한 반박이나 수긍이 아니라, 진실을 충실하게 써내려나가는 것이라 했다. 곧 나 자신의 생각에 반박하기도, 일관성 없음을 수긍하기도 하며 흔들리는 상태를 다채롭게 표현하고 체험해 나갔다.
<직각 마음>은 우리가 살아가는 그 현실을 문제적으로 제한하기보다 그 문제의식을 경험하는 상태를 오히려 삶 곁의 잠재적인 감각과 식견으로 이해해 나갈 수 있음을 보여준다. 결국 다채로움을 통한 본질은 각기 다른 고유한 가능태를 인정하고 포용해나감에 있다. 이은우의 가능태는 한계를 특성으로 바라보며 오롯이 그 상태로 주어진 전시 환경에서 관객을 경험해나가고 있다.